Battery Engineering Smart Factory
배터리-
스마트팩토리학과
Battery Engineering Smart Factory
배터리-
스마트팩토리학과
커뮤니티
배터리-스마트팩토리학과
Department of Battery-Smart Factory
學科敎育目的
고려대학교와 ㈜LG에너지솔루션의 이차전지 분야 산학협동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이차전지 산업관련 학문과 산업을 선도 할 수 있는 핵심인력 배출과 이차전지 분야의 실무 지향적 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.
學科傳攻分野
석사과정 / 박사과정 / 석박사통합과정
배터리공학전공(Battery Engineering), 스마트팩토리전공(Smart Factory Engineering)
學科內規
1. 본 과정의 학생은 입학 시 배터리공학전공과 스마트팩토리전공에서 전공별 각 1인의 교수를 지도교수로 정하며, 지도교수와의 면담하에 지도교수 지정과목을 정한다.
2. 학과관리위원회는 학과주임 외 2인의 관리 위원으로 구성하며, 관리위원회는 석사과정, 석・박통합과정, 박사과정의 입시 면접 및 논문의 전공 적합성 여부의 판정과 학생의 졸업 자격의 심사 등 제반 사항을 심의·결정한다.
3. 과정별 졸업요구학점은 석사과정 24학점, 박사과정 30학점, 석・박통합과정 48학점이며, 이 중 배터리-스마트팩토리학과로 개설한 기초공통과목 3학점, 전공과목 6학점은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. 이때 Cross listing으로 지정된 타 학과 개설교과목을 포함한다. 나머지 수강과목은 지도교수와 주임교수의 승인하에 수강한다.
4. 박사학위 취득을 위하여 SCIE 국제저명학술지에 1편 이상의 논문을 단독 또는 공동연구의 주저자(교신저자 또는 제 1저자)로 게재(acceptance letter 포함)하여야 학위 청구논문 심사가 가능하다.
綜合試驗
1. 지도교수가 지정하는 기초공통과목 및 전공과목 중 3과목을 필기시험으로 응시하여 과목당 70점 이상을 취득하여야 한다.
2. 종합시험 필기시험에 부분합격한 경우 불합격 교과목에 한해 재응시한다. 재응시는 2회 가능하며, 일반대학원의 종합시험 시행시기에 시행한다. 이외 세부사항은 학과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한다.